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독일 나치2

독일 나치의 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의 사과 독일이 전쟁을 반성한 이유. 독일 나치의 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의 사과 독일이 반성한 이유. 나는 독일이 2차대전 후에 처음부터 반성하려고 한게 아니었다고 확신한다. 1. 독일은 전후에 프랑스 스위스 폴란드 등 여러나라에게 둘러 쌓여 있었다. 2. 독일의 반성이나 사과는 꽤 선택적이었다. 지금의 독일을 보면 애국심 같은 단어도 조심할 정도지만 사과나 배상은 꽤 선택적이었다. 독일의 전 수상 빌리 브란트는 1970년에 폴란드에서 젖은 바닥에서 무릎 꿇은 모습을 보여준다. 이런걸 보면 자기가 잘못한 나라에게 배상은 몰라도 사과는 제깍 제깍 했을 것 같아 보이지만. 집시나 나미비아(1차대전 학살) 같은 곳에는 사과와 배상이 미진 하였다. 특히 나미비아는 2000년대에 들어서야 일개 장관이 사과하다가 2020년대에 들어서나 배상을 하게.. 2023. 1. 17.
독일 나치에게 복수 눈에는 눈 이에는 이 전후 독일인 대학살을 시도한 유대인 조직 '나캄' 유대인이 믿는 구약 모세의 율법엔 명료한 교리가 있다 '눈에는 눈 이에는 이' Nakam 히브리어로 복수라는 뜻이다. Dam Yehudi Nakim '유대인의 피에 대한 복수' 라는 문장에서 따왔다. 나캄은 이들 유대인 조직의 이름이다. 조직의 초대 리더는 압바 코브너로 그는 게토 출신의 유대인이였다. 나치는 그의 조국을 침략했고. 그는 나치에 의해 유대인 강제 수용 구역인 게토로 강제 이송된다. "도살장에 가는 어린 양들처럼 가지 말라" 2차대전 중인 1942년 그는 가난과 기아의 소굴이 된 게토에서 선언문을 발표한다. 압바 코브너는 히틀러의 목표가 전 유럽에서의 유대인의 절멸에 있다고 예언했고. 저항군을 지금이라도 조직해야 한다고. 유대인과 유대 사회 지도자에게 호소했다. 다만 유태 지도자들은 목숨이.. 2022. 11.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