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쟁7 도넛 하나로 전쟁을 이긴 여자들? 1차 세계대전, 도넛걸들의 감동적인 이야기 총 대신 도넛을 든 영웅들! 1차 세계대전을 훈훈하게 만든 도넛걸들의 활약상 도넛하면 보통 미국을 떠올릴 텐데 실제로도 미국은 도넛을 존나 좋아하는 나라다오죽하면 국가 도넛의 날National Doughnut Day까지 있을 정도임. 보통 6월 첫째주 금요일이다. 이날이 되면 등킨도나쓰를 비롯해서 미스터 도넛이나 크리스피 도넛 같은 전미 도넛 가게가 무료로 도넛을 푸는 부러운 날이다 근데 생각해보니까 좀 웃기지 않냐 어쩌다 국가 도넛의 날 같은게 생겼을까 그게 뜬금없이 전쟁이랑 관련있음 1차대전 시기의 일이다 1차머전은 진짜 개좆같은 전쟁이었는데 사방에 널린 똥싸개들이랑 장비충 때문만은 아니었다 배틀딱 좆망겜 1차머전을 가장 괴롭게 만든 건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참호였고 하나는 먹을 것이었음 진짜.. 2024. 11. 25. 인간 이하의 짐승, 오스카 디를레방거의 만행! 나치 최악의 악마는 어떻게 탄생했나? 전쟁의 광기가 낳은 괴물, 디를레방거! 인류 역사상 가장 잔혹한 학살자의 실체제 36무장척탄병사단장 오스카 디를레방어(oskar dirlewanger) SS 상급대령 본문으로 들어가기 전에 이새끼가 뭘 했길래 그 나치 독일에서도 제일 잔인하다고 평가받았는지 간단히 알아보자 1.민간인 시절에 13살 여자애 강간해서 감옥들어감 2.온갖 강력범, 사상범, 탈영병, 동성애자 등등 나치 기준으로 문제아들만 모아놓은 형벌부대의 수장이 됨 3.벨라루스에서 마을 200개를 태움, 12만킬 달성하고 히틀러한테 직접 독일 십자훈장 받음 4.탁아소를 점령한 디를레방어는 총알을 아끼기 위해서 아이들을 개머리판으로 때려죽이도록 명령함, 850킬 추가 5.유대인 시체로 비누를 만듬, 이 소문이 나중에 아우슈비츠에서 시체로 비누.. 2024. 11. 25. 독일 나치의 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의 사과 독일이 전쟁을 반성한 이유. 독일 나치의 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의 사과 독일이 반성한 이유. 나는 독일이 2차대전 후에 처음부터 반성하려고 한게 아니었다고 확신한다. 1. 독일은 전후에 프랑스 스위스 폴란드 등 여러나라에게 둘러 쌓여 있었다. 2. 독일의 반성이나 사과는 꽤 선택적이었다. 지금의 독일을 보면 애국심 같은 단어도 조심할 정도지만 사과나 배상은 꽤 선택적이었다. 독일의 전 수상 빌리 브란트는 1970년에 폴란드에서 젖은 바닥에서 무릎 꿇은 모습을 보여준다. 이런걸 보면 자기가 잘못한 나라에게 배상은 몰라도 사과는 제깍 제깍 했을 것 같아 보이지만. 집시나 나미비아(1차대전 학살) 같은 곳에는 사과와 배상이 미진 하였다. 특히 나미비아는 2000년대에 들어서야 일개 장관이 사과하다가 2020년대에 들어서나 배상을 하게.. 2023. 1. 17. 엄청난 스트레스로 전쟁 중 군인들이 자살하기 전 남긴 유서 “내 옆에 있는 사람이 죽은 걸 보고 내가 살았다는 걸 안도하고 있을 때, 난 정상이 아니란걸 알았다.” -2차 세계대전 때 자살한 미군이 남긴 유서 “입대하면서 난 악마를 죽이겠다고 맹세 했어. 나는 쪽발이가 악마라고 생각하고 쪽발이를 죽이고 또 죽였어. 아직 숨이 붙어있는 쪽발이들 금니를 뽑고 괴로워 하는것을 보며 즐겼어. 화염방사기로 타 죽으면서 몸부림치는 쪽바리를 보는걸 즐겼지. 근데 말이야, 걔네들도 사람이였어 악마는 나였지 그리고 난 지금 악마를 죽일거야.” -태평양 전쟁 때 자살한 미군이 남긴 유서 “노르망디 상륙 전까지는 난 친구가 많았어. 근데 상륙한지 얼마 안 지나 친구의 절반이 죽었어. 저번주에는 나를 3번이나 도와준 토마스가 죽었지. 근데 나는 그가 죽어갈때 아무것도 못했어. 나는 .. 2022. 9. 22. 냉전의 최전방이었던 대한민국 60~70년대 한국 DMZ에서 싸운 미군들 1960~1970년대 냉전의 최전방이었던 대한민국은 북한과의 군사적 갈등이 그야말로 최고조였다. 남과 북 양측은 틈만 나면 무력분쟁을 벌였고, 상대방을 염탐하기 위해 공작원들을 수시로 보냈다. 특히 최전방이던 휴전선은 그냥 전시상태나 다름 없었다.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푸에블로 호 납북, 판문점 도끼 만행사건, 남침땅굴등 한반도에서는 언제든지 전쟁이 터져도 이상하지 않는 상황이 계속되었다. 심지어 북한으로 월북하는 미군들도 있었다. 이런 위협들이 20년 가까운 세월동안 계속되었다. 해외파병이 결정된 미군들에게 한국은 베트남과 더불어 가기 싫은 곳 0순위를 다투던 위험지역이었다. 그나마 한국이 좀 덜 위험하고 베트남은 존나 위험한 곳이라는 인식이 박혀있을 뿐이었다. 한국은 당시 국방력의 상당 부분을.. 2022. 8. 4. 이전 1 2 다음 반응형